서울시, 쓰레기 73만톤 소각해 1850억 원유수입대체
서울시, 쓰레기 73만톤 소각해 1850억 원유수입대체
  • 이자용 기자
  • 승인 2012.03.19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지난 한 해 73만톤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해 얻은 소각폐열로 1850억원에 해당하는 133만 배럴의 원유수입대체 효과를 냈다.

서울시는 양천, 노원, 강남, 마포 4개 자원회수시설에서 서울에서 발생하는 연간 110만톤의 가연성 생활쓰레기 중 73만톤을 소각 처리해 이와 같은 에너지 생산 효과를 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 인해 작년 한 해 서울시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에서 생활쓰레기 73만톤을 소각해 얻은 재생에너지는 170만Gcal(기가칼로리=109칼로리)로 2006년 84만Gcal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증가한 이유는 2010년 5월 양천자원회수시설을 마지막으로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이 자치구 공동이용협약 체결을 완료함에 따라 가동률이 33%(‘06)에서 82%(’11)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나머지 37만 톤 중 5만톤은 은평과 경기도에서 소각처리 되고 있으며, 32만톤은 매립 처리되고 있다.

이같이 얻어진 청정재생에너지는 연간 19만가구에 난방공급이 가능한 수치로서 이는 서울시내 아파트(2010년 기준 132만가구)의 14% 정도에 난방열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생활쓰레기 1톤을 소각하면 한 가정에서 90일 정도 난방열로 사용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가 회수되며, 4톤이면 한 가정이 365일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19만가구 에너지 사용 수치는 한 가정에서 1년 동안 사용하는 평균 난방열 9Gcal를 감안해 계산했다.

서울시 자원회수시설로 들어온 생활 쓰레기는 950℃정도의 고온에서 소각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고압의 증기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 지역 냉·난방용 에너지로 이용하고 있다.

즉, 서울의 4개 자원회수시설은 단순히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이 아니라 매립되는 쓰레기도 줄이면서 새로운 청정에너지도 회수하는 꼭 필요한 시설로 자리잡고 있다.

요즘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는 이런 소각폐열을 유용한 대체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자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대체에너지란 1970년대에는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대체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됐으나, 1980년 이후 천연가스, 원자력 등의 사용이 증가되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최근에는 청정에너지(Clean Energy)로서의 재생 에너지, 신 에너지, 미래 에너지 등을 의미한다.

그간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기술개발이 진행돼 실용화에 이르고 있는 대체에너지로는 폐기물에너지,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가 주종을 이루며, 바이오매스(미생물 등을 이용), 지열, 조력 등을 이용한 대체에너지도 적용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서영관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앞으로도 안전하고 안정적인 소각시설 운영과 소각폐열 활용으로 에너지도 절약하고, 환경도 살리겠다”며, “쓰레기 분리배출 및 재활용에 시민들이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