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 지원"…건설硏,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 개발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 지원"…건설硏,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 개발
  • 김유현 기자
  • 승인 2023.11.30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사각지대 해소·AI 영상기반 위험요소 예방 효과 기대
▲스마트 안전모
▲스마트 안전모

(건설타임즈) 김유현 기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내년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소규모 건설공사(공사금액 50억 미만의 공사)의 위험 요소 분석 및 안전관리 업무지원을 위해 보급형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발표한 최근 5년간(2018~2022년)의 건설업체 사고 사망만인율은 1.75로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평균인 0.46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50인 미만의 건설 사업장의 평균 사고사망자 수는 343명으로 이는 전체 건설 사업장 사고사망자 수에서 약 78.4%를 차지한다.

이에 건설연 미래스마트건설연구본부 스마트 건설안전 연구팀(팀장 김태훈 박사)은 경남지역 테크노파크(TP) 패밀리 기업인 오에스랩과 협력해 기존 안전모에 결합이 가능한 저비용·고효율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했다. 스마트 안전모는 통신 기술과 최신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안전모에 설치해 작업자가 착용 시 실시간으로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스마트 안전모는 차량의 블랙박스처럼 영상 송신 기능, WiFi 및 4세대 이동통신(LTE) 기능, 음성 통신 기능, 위성항법시스템(GPS) 수신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된 영상은 AI 기반 분석을 통해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에 경보 알람이 울리기 시작하며, 동시에 즉각적인 구조 요청이 관제센터에 전달된다.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사기간 동안 매일 안전관리담당자가 건설현장을 순찰하면서 체크리스트의 항목을 점검해야 하는데, 이때 담당자는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해 안전점검 시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관제센터와의 음성 통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스마트 안전모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일반 안전모에 정보통신기술(ICT) 모듈 기기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일체형 스마트 안전모 대비 30~40% 저렴하다.

연구팀은 창원시의 건축공사 현장에서 실증 테스트를 진행했다. 실증 테스트에서는 통신환경(WiFi 혹은 LTE)에 따라 스마트 안전모와 관제센터 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평가했다. 또 긴급상황을 가정해 야외 현장에서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한 구조요청자의 위치 오차를 추정했다. 건설현장 안전점검 진행 시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한 안전관리담당자가 관제센터와 음성 통신하며 점검항목을 체크했다.

김병석 원장은 “스마트 안전모를 건설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건설산업에 스마트 기기의 보편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특히, 소규모 건설 공사현장에서의 ICT 기반 안전관리 기술 도입 및 활용의 진입장벽을 낮춰 고질적인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