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5종 개방
국토부,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5종 개방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2.01.07 13: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타임즈) 김정현 기자= 국토교통부는 공간빅데이터를 쉽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개발하고 지난해 12월 31일부터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을 통해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이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정책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형식과 분석절차 등을 표준화한 모델이다. 유사업무를 수행할 때 표준화 모델을 적용하면 원하는 분석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어 ▲비용절감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육 취약지역 분석' 표준분석모델의 경우 서울시를 대상으로 개발했으나 데이터 형식에 맞춰 경기도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경기도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유사한 업무인 도서관 취약지역 분석, 코로나19 선별진료소 부족지역 분석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공간정보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표준분석모델을 매년 개발해왔다. 올해에는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분석, 화재취약지역 분석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교통, 생활, 안전 등 공공 행정·정책 업무에 활용도가 높은 5종을 개발했다.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의 보육취약지역 분석 결과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의 보육취약지역 분석 결과

각각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분석(서울시) ▲스마트 버스정류장 설치 입지 분석(서울시) ▲화재 취약지역 분석(서울시 동작구) ▲보육취약지역 분석(서울시 동작구) ▲쓰레기 무단투기 상습·다발지역 분석(서울시 강서구) 등이다.

시 등이 실제 업무에 활용 중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기관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으며, 각 지역의 현안 해결과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현했다.

서울시의 버스정류장 사각지역 및 버스 노선 분석은 버스정류장 위치, 지역 총인구 데이터 등을 결합해 이용객 수요에 비해 버스정류장이나 버스 노선 부족 지역을 분석한 모델로, 대중교통 정책 수립, 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화재 취약 지역 분석은 화재 발생, 소방서 위치, 도로정보 데이터 등을 이용해 골든타임 내 화재 대응이 어려운 지역을 분석한 모델이다. 소방안전시설 추가 및 화재예방센터 설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표준분석모델은 '공간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을 이용해 개발했으며 누구나 쉽게 인터넷으로 열람·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공간정보 분석과 개발을 할 수 있고 분석요청 및 활용교육 신청 등의 서비스도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