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내 건설수주 성장세 둔화 전망
내년도 국내 건설수주 성장세 둔화 전망
  • 이헌규 기자
  • 승인 2021.11.04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건협, ‘2022년 건설시장 환경변화와 대응 발표회’
중대재해처벌법·건설안전특별법 등 ‘부담'
주택공급·SOC 예산 확대 등 '긍정적'

(건설타임즈) 이헌규 기자= 내년도 국내 건설수주 성장세가 크게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경영협회가 4일 서울역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중회의실에서 개최한 '2022년 건설시장 환경변화와 대응 발표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ktb투자증권 라진성 연구위원은 "올해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도보다 5.1% 증가한 204조를 기록하며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경제 활성화 정책 및 상업용 부동산 시장 호황에 힘입어 전 공종에 걸쳐 수주 증가세를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라 연구위원은 "내년도 국내 건설수주는 올해보다 0.6% 증가한 205조원을 기록하며, 최근 수년간의 가파른 성장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공공건설 부문의 경우 SOC예산 확대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기업 기준금액 상향, 예타 면제사업 본격화, 민자SOC, 그린 뉴딜, LH발주 증가, 철도 공공물량 확대 등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예상했다.

특히 내년에 대통령 선거가 예정된 상반기 보다는 하반기에 수주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건설 부문의 경우는 전년도 이월된 주택수주로 주거용은 증가세를 보이겠지만, 전년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 호황에 따른 역기저 효과로 큰 폭 감소세를 예측한 가운데 민간건설 수주는 올해 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라 연구위원은 "내년도 주택건설시장의 주요 변수로 예상되는 주택대출 규제 강화 및 금리 상승의 경우 아직은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금리가 아니다"라며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지속적인 금리 상승이 이어질 경우 수요를 약화시키고, 급매물 증가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주택정책 따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주택시장에 대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중요한 시기"라고 조언했다.

올해 해외건설 수주는 전년대비 17.3% 감소한 291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내년도에는 올해 지연된 수주물량과 가스·석유화학·원전 등 다양한 공종에서 발주 확대로 올해보다 14.8% 증가한 334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시장에 대한 입찰동향은 COVID-19 백신 효과 및 유가상승으로 중동 주요 발주처들이 투자 재개를 발표했지만, 지역과 공종 등에 차별적인 접근을 통해 손실 축소에 집중하는 형태의 보수적인 형태를 띨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2022년 건설산업 이슈와 대응방향’이란 주제 발표에 나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손태홍 연구위원은 내년도 세계경제의 주요 이슈로 △정책 부양과 백신접종 확대로 반등한 세계경제 성장세 지속여부 △에너지 △탄소중립 △미·중 충돌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와 관련한 GVC(Global Value Chain) 등 5가지를 꼽았다.

특히 국내 건설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주요 이슈로는 △위드 코로나 △대통령 선거 △건설정책 △세계경제 △금리와 부동산 △디지털 전환 등 6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내년 1월 시행을 앞둔 중대재해처벌법과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등이 건설기업 경영환경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건설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SOC 등 국가예산의 증가,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표된 초광역 협력지원 대책은 단일 경제 생활권 조성을 위한 지원 확대 등이 꼽혔다.

손태홍 연구위원은 "내년도 건설산업 환경의 가장 큰 변수 요인은 코로나와 공존 시도의 성공 여부이며, 국내 정치 및 경제 상황 측면에서는 위기요인보다는 기회요인에 집중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며 "2030년까지 KOSPI 전상장 기업은 ESG 의무공시가 예정(일정규모 이상의 기업은 2025년)된 만큼, 경영과 투자 활동의 새로운 원칙으로 경영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