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대책 후속조치 시행,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3주 연속 하락
11.3대책 후속조치 시행,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3주 연속 하락
  • 한선희 기자
  • 승인 2016.11.21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타임즈) 한선희 기자=  

11.3 대책 영향 확대 및 정치∙경제, 금리 불확실성 점증
서울 일반아파트 가격상승폭↓, 재건축아파트 가격하락폭↑

11.3대책 이후 관련 후속조치가 추가로 시행되면서 규제 영향력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11월3일 적용됐던 전매제한 강화 조치 이후 재당첨 제한이나 1순위 제한 등의 후속조치는 11월15일 시행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국내외 정치∙경제의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오는 12월에는 미국에서 금리인상까지 예고된 상황이어서 시장 내 불확실성 요인이 더 다양해지는 양상이다. 특히 11.3대책에서 규제(조정) 지역으로 선정된 서울 강남4개구와 경기 과천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규제강화 여파가 커지고 있다.

11월 3주차 수도권 아파트시장은 정부 규제정책과 각종 불확실성 영향으로 수요자 관망심리가 더 강화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주 대비 서울 일반아파트는 0.06% 올라 가격상승폭은 둔화되고, 서울 재건축아파트는 0.20% 떨어져 가격하락폭은 커졌다. 서울 전체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0.02% 상승하며 지난 주에 이어 상승폭이 둔화됐고 그 외 신도시는 0.02% 경기ㆍ인천은 0.02% 상승했다.

전세가격도 서울과 경기ㆍ인천을 중심으로 지난 주 대비 상승폭이 둔화됐다. 서울이 0.05% 신도시는 0.03% 경기ㆍ인천은 0.02% 상승했다. 전세물건 부족현상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상승흐름은 유지했지만 매매수요가 잠잠해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폭의 전세가격 조정도 나타나는 분위기다.

매매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은 ▼송파(-0.12%) ▼관악(-0.06%) ▼양천(-0.05%) ▼강남(-0.04%) ▼서초(-0.02%)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지난 주 강동구와 강남구 매매가격만 하락했던 것과 비교하면 하락지역이 2배 이상 늘어났다. 송파는 11.3대책 발표 이후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거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노원(0.19%) △강서(0.15%) △구로(0.13%) △마포(0.12%) △중구(0.11%) 등은 상승했다. 규제정책이 강남3구와 재건축시장에 집중되면서 일반아파트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은 규제 영향을 덜 받는 분위기다. 다만 상승폭은 전반적으로 둔화되는 추세다.

신도시는 ▼위례(-0.03%)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단기 가격상승 이후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가는 모습이다. 경기•인천은 △파주(0.09%) △성남(0.06%) △의정부(0.06%) △화성0.06%) △의왕(0.05%) △김포(0.04%) △수원(0.04%) △고양(0.03%) △안양(0.03%)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11.3대책 규제의 주요 대상인 과천(0.00%)지역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가격 변동이 없는 관망흐름을 이어갔다. 파주는 소형아파트 매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전세 현황을 보면, 서울은 △중랑(0.29%) △마포(0.15%) △서대문(0.12%) △강서(0.09%) △노원(0.08%) △동작(0.08%) △강동(0.07%) △성북(0.07%) △용산(0.07%) 순으로 상승했다. 중랑은 전세수요가 줄어든 시기에도 불구하고 물건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 ▼관악(-0.11%) ▼송파(-0.01%) 전세가격은 하락했다. 관악은 전세물건이 나오고 있지만 거래가 끊기면서 전세가격이 조금씩 하락하고 있다.

신도시는 △위례(0.56%) △일산(0.06%) △동탄(0.06%) 순으로 올랐다. 위례는 초∙중∙고교 교육시설 근접성이 우수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뛰었다. 한편 ▼파주운정(-0.07%) ▼평촌(-0.04%) ▼중동(-0.02%) ▼분당(-0.01%) 전세가격은 하락했다. 파주운정은 저가 전세물건이 모두 소진된 이후 매물이 많아지며 전세가격이 조정되고 있다.

경기•인천은 △하남(0.12%) △화성(0.09%) △고양(0.06%) △안산(0.06%) △용인(0.06%) 순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하남은 중소형물건을 중심으로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면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한편 ▼이천(-0.11%) ▼평택(-0.08%) ▼파주(-0.05%) ▼부천(-0.04%) 순으로 전세가격이 하락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세다. 지난 11월8일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우려로 국내 채권금리가 상승하며 은행권의 조달금리가 높아진 영향이다. 하지만 향후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추가 인상될 요인도 상당하다. 정부가 은행권에 가계대출을 더 줄일 것을 주문했고 이자수익이 줄어든 은행권은 개인에게 가산금리를 더 받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오는 12월에는 미국에서 기준금리가 인상될 전망이어서 국내 대출금리 상승흐름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1,3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우려감이 커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주택시장과 금리는 반(反)의 관계를 형성한다. 금리가 오르는 만큼 주택 수요자의 자금마련 부담이 커져, 주택시장은 매수 수요가 위축될 수 밖에 없다. 향후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는 수요자라면, 변동금리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 가능성에 대비하여 월 소득 대비 부채 상환 여력을 꼼꼼하게 체크해 둘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