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사회는 권력자가 아닌 국민들이 만든다
공정사회는 권력자가 아닌 국민들이 만든다
  • 온라인 뉴스팀
  • 승인 2011.05.20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해 5월에 출판된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하버드대학 교수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what's the Right Thing to Do)'가 올 4월 18일자로 밀리언셀러가 됐다.

11개월 만에 100만부를 돌파한 것이다. 출판 당시 베스트셀러였던 '정의란 무엇인가'는 해가 바뀐 올해에도 여전히 베스트셀러 목록 10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보통 '정의란 무엇인가'와 같이 철학이나 역사를 다루는 인문서는 1만부를 넘으면 베스트셀러 대접을 받는다.

우리나라에서 인문서로서 100만부 넘게 팔린 책은 국내 저자 중에는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와 故이윤기 선생의 '그리스로마신화', 번역서 중에는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런데 사랑의 기술은 처음 출판된 해가 1991년으로 20년이 넘었고 여러 출판사가 중복해서 출판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1년이 채 되지 않은 기간 동안 100만부가 팔린 '정의란 무엇인가'의 힘은 그야 말로 엄청난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불같은 지지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내면의 동기가 무엇이든 독자들이 정의에 목말라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자신이 서 있는 위치가, 자신을 그 자리에 서 있게 하는 시스템이 뭔가 정의롭지 못하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가지고 우리사회에는 정의가 부족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주관적 느낌은 자유이나 이를 객관적 실체로 규정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개인의, 가정의, 집단의 상황을 정의가 결여된 사회의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30년간 경쟁, 시장, 효율을 무기로 정치경제를 주도하던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은 금융위기를 계기로 한계를 보였다.

독자들이 '정의란 무엇인가'를 열독하는 이유도 이기적 개인주의가 팽배에 따른 윤리적 토대의 상실을 반성하고 자유와 권리보다 평등과 책임을 더 중시하는 샌델의 철학이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현 정부가 공정사회와 동반성장을 국정이념으로 제시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보인다.

취임 전후만 해도 기업과 시장, 경쟁과 효율을 강조했던 이명박 대통령이 금융위기로 인한 혼한을 비교적 무난히 수습한 2010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던진 화두는 공정사회였다.

경기불황에 지친 국민들을 위로하거나 정치적 지지를 확대하기 위해 그냥 던진 말이 아니다.

국가 최고지도자로서 우리사회가 가야 할 곳을 가리킨 방향이 바로 공정사회다.

가식이라면 동반성장위원회를 만들어 재벌 대기업과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까지 벌이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십거리다. 레임덕이 시작됐는지 아닌지가 신문의 주요 기사거리가 되고 전문가의 진단대상이 되고 있다.

권력의 힘은 약해져도 공정사회를 지향하는 정책과 에너지는 약해지지 않았으면 한다.

공정사회로 가는 추진력을 더하거나 빼는 최종책임자는 대통령이 아니다.

바로 너와 나를 포함하는 국민들이다. 국민들이 공정사회를 원한다면 누가 다음 대통령이 되든지, 어느 당이 집권당이 되든지 하는 일과 무관하게 그들은 공정사회를 향해서 계속 갈 것이다.

그러나 국민들이 원하지 않으면 그들은 굳이 힘든 길을 가려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과연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보내는 성원이 공정사회를 향해서도 발휘될지 두고 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