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양구 수입천 등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발표
환경부, 양구 수입천 등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발표
  • 김유현 기자
  • 승인 2024.07.30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목적댐 3곳·홍수조절댐 7곳·용수전용댐 4곳 선정
▲기후대응댐 후보지
▲기후대응댐 후보지

(건설타임즈) 김유현 기자=환경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국가 전략산업의 미래 용수 수요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유역별로 홍수의 위험성과 물 부족량 등을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평가한 후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도출했다.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으로 기후대응댐 건설을 건의해 옴에 따라 댐 별로 적정성을 검토하고 필요한 댐들은 후보지에 반영했다.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총 14곳으로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이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금강권역 1곳▲영산강·섬진강권역 3곳이다.

다목적댐은 한강권역에 연천 아미천과 강원 양구 수입천에, 금강권에는 충남 청양 지천에 짓는다. 이중 용량이 가장 큰 건 수입천 다목적댐이다. 14곳 전체 댐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총저수용량은 약 1억톤으로 대청댐(14억9000만톤)의 6.7% 수준이고, 전남 나주호 저수용량(1억781만톤)과 비슷하다.

용수전용댐은 한강권역에는 삼척 산기천과 단양 단양천, 낙동강권역에는 청도 운문천, 섬진강권역엔 화순 동복천에 새 댐을 짓는다. 이중 신기천 댐을 제외한 3곳 댐은 기존 댐 저수구역을 확장하는 형태로 물그릇을 늘린다.

홍수조절댐은 7곳으로 낙동강권역 감천, 용두천, 고현천, 가례천, 회양강 등 5곳, 섬진강권 옥천과 영산강권역 병영천에 각각 1곳씩 건설한다. 다만 낙동강권역 김천 감천과 예천 용두천은 신설, 그 밖의 홍수조절댐은 기존 댐을 재개발하는 형식으로 조성된다.

환경부는 기후대응댐을 통해 댐별로 한 번에 80~220mm의 비가 오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홍수 방어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예를 들어, 2023년 경북 예천군은 홍수로 인해 3명의 인명피해와 117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나 용두천댐이 건설되면 200년 빈도의 강우가 오더라도 댐 하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후대응댐을 통해 새롭게 공급되는 물은 연간 2.5억톤으로, 이는 220만명의 시민이 사용할 수 있는 규모이며, 이를 활용해 극한 가뭄과 국가 전략산업 등 새로운 물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역 주민 친화적인 댐 건설을 위해 도로와 상·하수도, 수변공원, 캠핑장 등 댐 주변 지역 지원 예산을 상향할 예정이며, 기존 댐의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해 지역 주민의 삶에 도움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기후대응댐 후보지 마련 시, 댐 건설로 인해 상수원 규제가 추가되지 않거나 꼭 필요한 경우에도 최소화되도록 했으며, 수몰로 인한 이주 가구도 최소화되도록 했다.

다만 이 댐은 당장 첫 삽을 뜨더라도 준공까지 10년가량이 걸릴 예정이다. 또 환경보전과 토목 공사 확대를 반대하는 환경·시민단체와 갈등도 예상된다.

환경부는 8월부터 지역 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소통하고 관계기관과도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협의가 마무리되면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댐 후보지를 반영하고, 댐별로 기본구상,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등의 후속 절차가 진행되며, 그 과정에서 댐의 위치, 규모, 용도 등이 확정될 계획이다.

김완섭 장관은 “댐 건설은 지금 시작해도 10여년 정도가 소요되는 만큼 지역주민의 삶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도록 도로, 상하수도 등 댐 주변 지역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