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노동생산성 줄고 OECD와 격차 더 커져
건설업 노동생산성 줄고 OECD와 격차 더 커져
  • 김정현 기자
  • 승인 2022.11.29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산硏, ‘한국 건설산업 생산성 분석’ 보고서
기술투자·양질의 교육훈련…제도 개선·정책 지원 필요

(건설타임즈) 김정현 기자=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줄어 OECD 가입 선진국과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한국 건설산업 생산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최근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이 부가가치기준과 산업생산기준 모두에서 급격히 하락했다고 29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1년에서 2021년 사이 104.1에서 94.5로 감소했다. 산업생산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106.9에서 98.6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은 98.8(2011년)에서 113.5(2021년),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은 104.5(2011년)에서 110.0(2021년)으로 증가했다.

노동생산성 감소는 동일하게 투입된 인력이 더 적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건설산업 종사자들의 임금 향상이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선진국과 비교에서도 건설산업의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 순위는 2010년 22위(5만214달러)에서 2019년 26위(2019년 5만1603달러)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10년 23위(6만9227달러)에서 2019년 22위(7만9660달러)로 한 단계 상승했고, 여기에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건산연은 향후 건설업 생산성 전망을 위해 대표적인 투입 요소인 노동과 산출 요소인 건설경기와 기술투자, 제도요인 등 기타 영향 요소에 대해 조사했다.

건설산업에서는 과거와 같은 노동과 자본 투입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경기부양을 위한 건설투자 확대도 어려운 상황이다.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민간부문의 저조한 기술투자, 규제 중심의 제도 여건 등의 영향으로 건설산업에서는 앞으로 생산성 저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성유경 연구위원은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민간부문의 저조한 기술투자, 규제 중심 제도여건 등 앞으로도 건설산업의 생산성 저하가 예상된다"며 "이대로라면 건설업과 전산업과의 생산성 격차는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 그 어느 때보다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