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위성 아시아 대기질 영상 첫 공개…중국발 미세먼지 유입 확인
환경위성 아시아 대기질 영상 첫 공개…중국발 미세먼지 유입 확인
  • 김유현 기자
  • 승인 2020.11.18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10년간 아시아 전역 대기질 관측
▲2020년 10월 20일 중국에서 발원한 황사 및 고농도 미세먼지가 유입돼 환경위성으로 한반도 주변에서 관측됐다. [자료=환경부]
▲지난 10월 20일 중국에서 발원한 황사 및 고농도 미세먼지가 유입돼 환경위성으로 한반도 주변에서 관측됐다. [자료=환경부]

 

(건설타임즈) 김유현 기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자 발사한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영상이 처음 공개됐다.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는 18일 천리안 2B호에 장착된 정지궤도 환경위성에서 관측된 아시아 대기질 자료를 언론 및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최초로 공개했다.

환경부 및 관계부처는 2008년부터 총 15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환경위성 사업을 추진한 끝에 올해 2월 19일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환경위성은 3월 6일 목표궤도에 진입한 뒤 성공적으로 작동 점검 등 시험운행에 돌입했으며, 이번 영상공개는 환경위성의 첫 성과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환경위성이 시험운행 기간에 아시아 전역의 미세먼지(PM), 이산화질소(NO2), 아황산가스(SO2), 오존(O3) 등 대기오염물질을 관측한 자료다.

영상 자료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와 관련된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와 오존의 시간대별 발생, 이동 및 분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9월 9일 관측자료에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차량 이동이 많은 대도시와 화력발전소, 공업지역 등지에서 NO2 농도가 높게 나타난다.

또한, 기존 국외 저궤도 위성에서는 관측이 되지 않거나 다량의 구름으로 일부 지역 관측이 누락된 반면, 한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은 아시아 전역이 골고루 관측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니시노시마 화산 폭발로 인한 고농도 아황산가스(SO2)의 이동(8월 6일), 중국이 발원지인 고농도 미세먼지의 한반도 이동(10월 20일), 만주 및 일본의 고농도 오존층(8월 6일) 등의 관측 영상도 함께 공개했다.

위성운영 기관인 국립환경과학원은 천리안 2B호에 장착된 환경위성이 국외 환경위성과 비교해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하루 1회만 촬영했던 기존 국외 저궤도 위성에서는 관측되지 않거나 구름 등으로 인해 관측 과정에서 누락된 지역이 있었으나, 환경위성은 하루 평균 8회 관측이 가능해 아시아 전역을 골고루 관측할 수 있다.

공간 해상도 측면에서도 2017년에 발사된 유럽의 환경위성보다 약 2배, 2004년 발사된 미국의 환경위성보다는 약 11배 뛰어났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기존 위성들처럼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신호들을 전송받아 이를 영상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며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대기오염물질 이동을 볼 수 있으나 정책에 활용하려면 지상 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지상 농도로 전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위성은 앞으로 10년간 약 3만6000㎞ 상공에서 아시아 전역의 대기오염물질을 관측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독도 및 한반도, 중국 동부가 최대한 많이 관측되도록 관측 영역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영상 자료는 전문가의 검토·검증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에 환경위성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에 공개된다.

환경부는 환경위성 자료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시아 13개국에 자료를 공유하는 '환경위성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 사업'인 ‘판도라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