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지방 주택구매력지수, 역대 ‘최고치’
1분기 지방 주택구매력지수, 역대 ‘최고치’
  • 이유진 기자
  • 승인 2020.07.08 10:5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부동산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서울·수도권 등 주택구매력지수는 하락

(건설타임즈) 이유진 기자= 올해 1분기 지방의 주택구매력지수(HAI)가 지난 2012년 이래 역대 최대치(아파트 기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지방의 주택구매여력을 나타내는 주택구매력지수(HAI)는 291.9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2년 1분기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 종전 최고치인 2015년 1분기의 기록(282.5)을 경신한 수치다. 또 전년 4분기(273.5)보다 18.4가 오르며, 그동안 지방 주택구매력지수 가운데서도 역대 최대 격차를 보였다.

또 1분기 8개도의 주택구매력지수도 393.3을 나타내면서, 2012년 이래 최대치를 보였다. 종전 최고치인 2019년 3분기(364.5)는 물론 전년 4분기(321)보다 높았다.

반면 올해 1분기 전국과 서울, 수도권, 5대광역시 각각의 주택구매력지수는 전년 4분기 대비 일제히 하락했다. 1분기 전국의 주택구매력지수는 166.4로 전년 4분기 대비 13이 감소했다. 서울은 24.2가 감소한 68.5를 기록했고, 수도권은 19.4 감소한 114.2를, 5대광역시는 5.5감소했다.

주택구매력지수는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 정도의 주택을 구매한다고 가정할 때 현재의 소득으로 대출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주택구매력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의 주택을 큰 무리 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수도권, 광역시 보다 지방의 주택구매력지수가 높게 나타난 데는 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인한 주택구입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며 “특히 서울, 수도권 등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을 억제해 집값을 잡겠다는 정부의 잇따른 정책에 지방 부동산 시장이 반사이익을 얻게 되는 영향까지 맞물리면서 주택구입 부담은 줄고, 구매력은 되려 높아지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 지방 분양시장에서는 ‘속초 롯데캐슬 인더스카이’, ‘e편한세상 밀양 나노밸리’, ‘김해 푸르지오 하이엔드’, ‘호반써밋 시그니처’ 등 신규 분양 아파트가 공급돼 많은 실수요자가 몰릴 것으로 보인다.

먼저 강원도 속초시에서는 롯데건설이 7월 동명동 436-1번지 일원에 짓는 ‘속초 롯데캐슬 인더스카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8개 동, 전용면적 59~128㎡, 총 568가구로 공급되는 속초시의 첫번째 ‘롯데캐슬’ 브랜드 단지다.

경상남도 밀양시에서는 대림산업이 7월 내이동 133번지 일원에 짓는 ‘e편한세상 밀양 나노밸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9층, 4개동 총 560가구 규모다.

충청남도 당진시에서는 호반건설이 15일 수청동 수청2지구 RH-1블록에 짓는 ‘호반써밋 시그니처’의 1순위 청약을 받는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12개동, 총 1084가구 규모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는 금호건설이 7월 동남구 청수동 225번지 일원에 짓는 ‘청수행정타운 금호어울림’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5층, 7개동, 전용면적 59~84㎡, 총 584가구 규모로 이중 267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는 대방건설이 8월 내포신도시 RM9블록에 짓는 총 868가구 규모의 ‘내포신도시 대방노블랜드’를 분양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청라 푸르지오시티 2020-07-16 12:15:29
【대우건설 브랜드 푸르지오시티】

●7.10부동산대책 피한 틈새상품!!
*전매제한X, 주택수X, 청약통장X
*중도금 전액 무이자 60%

●신세계 스타필드 도보3분
*고양 스타필드 입점 후
인근 오피스텔 시세 1억 상승!!

●지하철역 3개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