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뒤 드론 택시로 인천공항 간다…도심항공교통 로드맵 발표
5년 뒤 드론 택시로 인천공항 간다…도심항공교통 로드맵 발표
  • 박상민 기자
  • 승인 2020.06.04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2025년 상용화·2035년 자율비행 비전 제시
차량 1시간 거리 20분 만에 주파
2025년 여의도·인천공항 노선 예정
▲도심항공교통 단계별 주요 추진계획 [자료=국토부]
▲도심항공교통 단계별 주요 추진계획 [자료=국토부]

 

(건설타임즈) 박상민 기자=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출현이 현실화 된다.

국토교통부는 4일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하늘 길 출퇴근을 가능케 할 차세대 모빌리티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의 2025년 상용화 서비스 개시를 주 내용으로 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확정·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UAM 분야에 관한 정부의 첫 로드맵으로, 정부는 2025년 상용서비스 도입을 목표로 설정했다. 정부는 로드맵에 따라 한국형 운항기준을 세우기 위한 실증작업에 나서는 한편 기체 개발, 관련 법·제도 정비에도 착수했다.

국토부는 대도시권의 교통 혼잡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상공을 나는 친환경·저소음 교통수단인 UAM이 대두되고 있고 소재·배터리·제어·항법 등 항공 핵심 기술이 발전하면서 UAM은 실현 가능한 차세대 모빌리티로 떠올랐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UAM은 기존 헬기와 유사한 고도와 경로를 비행한다. 전기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없고 소음은 헬기의 20% 수준에 불과한 친환경 미래교통수단이다.

대형 로터 하나로 움직이는 헬기와 달리 8개의 작은 로터를 쓰기 때문에 로터가 고장이 나도 추락할 우려가 적다. 소음도 최대 63㏈로 일상에서 대화를 나누는 수준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도시 권역 30∼50㎞ 거리를 비행 목표로 하는 UAM은 승용차로 1시간 걸리는 거리를 단 20분 만에 도달할 수 있는 혁신적 교통서비스다.

운임은 상용화 초기 40㎞(인천공항∼여의도) 기준 11만원 정도로 모범택시보다 비싼 수준이 되겠지만, 추후 자율비행이 실현되면 2만원 수준으로 저렴해질 것으로 국토부는 관측했다.

UAM이 상용화되면 수도권 기준 출퇴근 시간과 사회적 비용은 70%가량 줄어들고, 2040년까지 UAM 관련 세계시장 규모는 730여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상용화 전인 2024년에는 인천공항, 김포공항, 청량리역, 코엑스 등을 잇는 실증노선을 지정·운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1인승 시제기(試製機) 개발을 2023년까지 완료하고, 중·장거리용(100∼400㎞) 기체와 2∼8인승 기체 개발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대규모 자본이 드는 UAM용 터미널(Vertiport)은 민간자본 조달을 통해 구축하되, 대도시권 광역교통에 맞물리도록 복합환승센터 구축 계획과 연계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율비행 기술 개발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때 첫 상용화 이후 약 10년간은 기체에 조종사가 탑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제시한 자율비행 목표 시기는 2035년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UAM 도입을 목표로 이날 ‘도심항공교통 선도국가로의 도약’, ‘시간과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미래형 일자리 창출 가속화’라는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민간주도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기존 안전·운송제도 틀이 아닌 새로운 제도틀 구축’,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으로 선진업계 진출·성장 유도’ 등 3대 기본방향도 설정했다.

정부는 2040년 국내 UAM 시장 규모가 13조원에 이르면 일자리 창출 16만명, 생산유발 23조원, 부가가치유발 11조원 등 산업적 파급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선 민관합동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에 착수해 2024년까지 통신환경, 기상 조건 등 국내 여건에 맞는 한국형 운항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로드맵 세부 과제 발굴·추진을 위해 산·학·연·관 협의체이자 정책공동체인 'UAM 팀 코리아(UAM Team Korea)'를 이달 안으로 발족할 방침이다.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UAM과 관련한 기술 개발은 선진국보다 시작이 늦었지만,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의 로드맵 수립은 한국이 가장 빠르다"며 "로드맵을 충실히 이행하면 선진국을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