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중심 'VE', 생산성 향상·공기단축 방식으로 전환 필요"
"설계 중심 'VE', 생산성 향상·공기단축 방식으로 전환 필요"
  • 김정현 기자
  • 승인 2018.06.21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시공·유지관리 'VE'로 확대

(건설타임즈) 김정현 기자= 정부가 설계 중심의 VE(가치공학)를 공사비 절감이 아닌 생산성 향상과 공기단축 등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에 걸쳐 다양한 VE 기법을 활용할 있도록 건설분야 VE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VE는 원안의 성능과 품질 이상의 대안을 통해 예산 절감을 이루는 동시에 시설물의 기능과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국토부는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최적의 대안을 창출하기 위한 VE 수행으로 예산 절감, 시설물의 성능 향상, 생애주기비용(LCC)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VE 기법을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 건설분야 VE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단계별로 중점 VE 대상, VE 기법, VE 수행주체와 수행시점·방법·절차를 규정하고, 설계 VE, 시공 VE, 유지관리 VE를 포괄하는 법령과 행정규칙을 개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현재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에 담긴 VE 개념을 법률로 상향해 VE를 건설분야의 수행 과정 중 일부가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제도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국토부는 계약제도와 연계해 발주형식별로 시공VE를 수행할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계약제도와 연계해 발주형식별로 시공VE를 수행할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현행 설계 VE가 건설현장에서는 공사비 절감 수단으로만 인식되고 있다.

이는 설계 VE를 제외한 시공 VE와 유지관리 VE가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공 VE는 지난 2011년 도입됐지만 발주기관의 인식 부족과 총공사비 감소에 비해 미흡한 인센티브, 설계변경에 따른 소요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발주기관과 건설사들이 외면하고 있다.

유지관리 VE는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한 유지관리 VE에 대한 개념, 대상, 방법, 절차 등 구체적인 규정조차 없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석인 기술정책연구실장은 "VE의 정착을 위해선 공사비 절감 수단이 아닌 생산성 향성과 공기 단축 등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