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수도권아파트 시장 양극화
대선 앞두고 수도권아파트 시장 양극화
  • 이자용 기자
  • 승인 2017.04.24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건축 중심으로 서울 0.06%↑, 14주 연속 상승
신도시, 경기ㆍ인천은 관망세 이어져

대선을 약 20일 가량 앞두고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보합세로 양극화된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4월 3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주와 동일한 0.06% 상승했다. 둔촌주공이 5월 관리처분계획인가를 앞두고 기대감에 매매가격이 오르는 등 서울 재건축 아파트(0.11%)가 상승세를 이끌었고 성동이나 마포 등에서 내 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가 움직이며 가격상승 무드를 이어갔다. 반면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각각 0.00%, 0.01% 변동률을 보였다. 매수세가 뜸해졌고 대출규제 강화와 공급과잉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관망세를 보였다.

금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2% 변동률로 전주와 동일했고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각각 0.01% 하락했다. 봄 이사시즌이 막바지에 달하면서 전세수요가 뜸해지자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은 둔화됐고 신규 아파트 공급이 많았던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전세매물이 쌓이면서 하락반전 했다.

매매 현황을 보면, 서울은 △성동(0.12%) △강동(0.11%) △마포(0.10%) △서초(0.10%) △중랑(0.10%) △서대문(0.09%)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신도시는 대선을 앞두고 전체적으로 조용한 가운데 급매물 중심으로 매수세를 보이나 거래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다. △위례(0.05%) △동탄(0.01%) △판교(0.01%)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반면 ▼분당(-0.03%) ▼중동(-0.03)은 하락했다. 분당은 고가 아파트인 정자동 파크뷰가 약 2,000만원-2,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성남(0.21%) △파주(0.07%) △구리(0.05%) △시흥(0.05%) △남양주(0.04%) △안양(0.04%) 순으로 상승했다. 한편 ▼양주(-0.06%) ▼의왕(-0.01%) ▼부천(-0.01%) ▼고양(-0.01%)은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전세 현황을 보면, 서울은 △동대문(0.24%) △은평(0.12%) △노원(0.09%) △성동(0.08%) △강북(0.07%) △관악(0.07%) 순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한편 수요가 뜸해지며 ▼송파(-0.14%) ▼성북(-0.03%) ▼중랑(-0.02%) ▼양천(-0.02%) ▼도봉(-0.02%)은 전셋값이 금주 약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봄 이사시즌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 들면서 전세수요가 잠잠하다. △중동(0.05%) △평촌(0.02%) △일산(0.01%)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다.반면 최근 신규 공급이 많았던 곳은 전세 매물이 쌓이면서 전셋값이 떨어졌다. ▼김포한강(-0.15%) ▼위례(-0.07%) ▼동탄(-0.06%)순으로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구리(0.08%) △성남(0.05%) △파주(0.05%) △군포(0.04%) △안산(0.04%) △광명(0.03%) 순으로 상승했다. ▼과천(-0.94%) ▼의왕(-0.17%) ▼양주(-0.09%) ▼수원(-0.09%)의 전셋값이 하락했다. 과천은 재건축 이주가 마무리되면서 전세수요가 뜸해지며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성권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제19대 대통령 선출을 위한 대선 정국이 시작되며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지역과 상품별로 분위기를 달리하고 있다.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사업진행에 속도를 높이며 매매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고 11.3 대책 이전에 분양한 아파트 분양권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 11.3 대책의 분양권 전매제한에 걸리지 않는 평택 고덕신도시 등은 분양성적이 양호하고 주택시장 규제에 대한 반사효과로 오피스텔 분양시장에도 따뜻한 봄 바람이 불고 있다. 반면 일반 아파트 시장은 매도자와 매수자간 가격괴리감이 크고 대출규제 강화, 금리인상 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매수자들이 선뜻 거래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대선은 이전과는 다르게 개발보다는 주거 복지에 중점을 둔 공약들이 주를 이루고 1,36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리스크에 경기 부양책보다는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같은 분위기는 대선 이후에도 한동안 계속 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