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산업분야 R&D에 12조 2000억원 대폭 투자
올해 신산업분야 R&D에 12조 2000억원 대폭 투자
  • 이유진 기자
  • 승인 2017.03.23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대 신산업 ‘14개 기업연구소장 간담회’ 개최

산업R&D 중 핵심원천연구 비중 40%까지 확대
융복합 R&D지원 강화…사업구조 개편 및 융복합 R&D 종합기획단 발족 
대규모 실증연구 지원 확대 연말까지 12대 신산업별 대표 프로젝트 발굴

(건설타임즈) 이유진 기자= 정부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분야 R&D 투자를 확대하고 신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올해 14개 기업 R&D 투자액은 전년보다 11.1% 늘어난 12조 2000억원으로, 신산업 부문은 전년보다 29.5% 많은 3조 500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 오키드홀에서 ‘신산업 창출을 위한 기업 연구소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12대 신산업 분야 R&D투자 주요기업 연구소장 14명, 출연연‧지원기관 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민간 주도의 신산업 창출이 적극 전개될 수 있도록 ▲규제개선 ▲ 연구개발(R&D)·세제·인력 등 집중지원 ▲융합 플랫폼 구축 등 3대 정책방향에 초점을 맞췄다. 

   
주요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신산업 분야 계획안 

이날 참석한 주요 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신산업 분야 투자계획을 보면 엘지(LG)화학은 3세대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아울러 수(水)처리 필터의 고염제거, 고투과 차세대 기술개발(신소재), 의약품 및 종자‧작물보호에 대한 중장기 연구에 착수(바이오)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세계적인 협력사와 협력을 통해 신약의 국제 임상진행을 중점 추진하고 골다공증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등 복합신약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노시뮬레이션은 가상현실(VR) 체험 효과를 극대화하고 VR 사용 시 겪는 멀미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모션플랫폼(탑승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움직임을 제공해주는 장비)을 개발해 상용화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올 하반기 용산 신사옥 건립에 맞춰 유전자 진단 및 개인맞춤형 화장품 체험관을 신설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S8 등에 활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SK네트웍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10나노대 D램과 72단 3D(3차원) 낸드플래시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주형환 산자부 장관은 “기업들이 참여를 꺼리는 고위험, 고난이도 미래연구개발과제 또는 개발된 연구성과를 구매하는 입장에서 기업이 참여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기업들의 현금부담비율 등을 완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차세대 반도체,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R&D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지능형반도체 전문인력, 미래형 자동차 R&D 전문인력 등 연구개발 인력 480명을 양성한다.

중소 가전사의 사물인터넷(IoT) 활용을 촉진하고자 상반기 중 'IoT 가전 빅데이터 센터'를 만들어 데이터 제공·분석 서비스를 시행하고 '에어가전 혁신센터'를 설립해 IoT 가전에 필요한 공통모듈을 개발할 예정이다.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를 위해 올해 말까지 공용급속충전기 2500기를 포함해 누적 2만기의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고, 로봇 산업에 연간 884억원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스마트공장 등 4차 산업혁명 확산에 핵심역할을 할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88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민간과 정부간 적절한 역할분담(Public-Private Partnership)이 중요하다"며 "R&D 분야에서 민간과 정부간 효율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발전적인 논의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주당 근로시간 단축 문제에 대해 주 장관은 "소상공인, 중소·중견기업의 부담 및 기업경쟁력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함께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종합적으로 균형있게 고려해 사회 전반의 합의를 기초로 논의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계적 이행 등 산업현장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 방안과 노동계는 물론 경제계 의견 등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