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서울 강남4구 0.24% 상승, 전년동월比 증가
2월 서울 강남4구 0.24% 상승, 전년동월比 증가
  • 이자용 기자
  • 승인 2017.02.27 13: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남권 재건축, 11.3대책 이전 가격으로 돌아가나

(건설타임즈) 이자용 기자= 11.3대책 이후 단기 조정됐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시장은 개포주공1단지의 관리처분 총회 임박과 잠실주공5단지의 50층 부분 건립 허용 호재 영향으로 가격 상승을 이어갔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4주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상승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0.17% 올랐다. 신도시 0.01%, 경기ㆍ인천은 0.01%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2월 수도권 매매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상회한 상승률로 마감했다. 전년 동월 대비 2월 한달 서울은 보합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0.15% 올랐다. 경기ㆍ인천(0.01%)과 신도시(0.02%)도 전년 동기간 대비 비슷한 행보를 이어갔다. 특히 강남4구는 0.24%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1.3대책 직전 10월 변동률(1.09%)의 4분 1수준이다. 강남4구외 지역은 2월 들어 전년 동월 상승률(0.06%)을 역전해 0.09%를 기록했다. 직장인 수요가 두터운 도심권 인근 지역의 소형 아파트 매수는 간간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전세시장은 안정된 모습이다. 서울(0.03%)과 경기ㆍ인천(0.01%)은 소폭 상승했지만 신도시는 위례신도시 가격조정 영향으로 0.05% 떨어졌다.

매매 현황을 보면, 서울은 ▲도봉(0.12%) ▲동대문(0.11%) ▲송파(0.11%) ▲은평(0.10%) ▲마포(0.09%) ▲서초(0.09%) 지역 순으로 올랐다. 강북권은 소형 아파트 매물 부족으로 상승했다. 반면 ▼양천(-0.02%) ▼강북(-0.02%) ▼성북(-0.01%)이 하락했다.

신도시는 ▲일산(0.03%) ▲평촌(0.03%) ▲동탄(0.02%) ▲산본(0.01%) 지역이 올랐다.

경기·인천은 ▲안양(0.12%) ▲시흥(0.02%) ▲인천(0.01%) ▲광명(0.01%) ▲남양주(0.01%) ▲부천(0.01%) ▲안산(0.01%)이 상승했다. 반면 ▼고양(-0.02%) ▼의왕(-0.01%) ▼수원(-0.01%)은 하락했다.

전세 현황을 보면, 서울은 ▲금천(0.50%) ▲서대문(0.22%) ▲은평(0.16%) ▲동작(0.10%) ▲송파(0.08%) ▲강남(0.07%) 지역이 올랐다. 반면 ▼강동(-0.36%) ▼양천(-0.08%) ▼용산(-0.06%) ▼성북(-0.05%) 지역이 하락했다. 강동은 노후아파트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신도시는 ▲평촌(0.10%) ▲분당(0.01%) ▲일산(0.01%) 올랐다. 반면 ▼위례(-0.62%) ▼김포한강(-0.62%) ▼동탄(-0.01%) 지역이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평택(0.05%) ▲안산(0.04%) ▲고양(0.03%) ▲수원(0.03%) ▲용인(0.03%) ▲이천(0.03%) 지역이 올랐다. 반면 ▼양주(-0.20%) ▼성남(-0.15%) ▼광명(-0.02%)은 하락했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11.3대책 이후 분양시장 위축, 대출규제 강화, 입주물량 증가 등의 악재로 매매거래량이 줄어들면서 단기 가격 하향 조정을 받았다. 그러나 1월 중순 들어 달라진 모습이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하거나 50층 층수 제한에서 일부 빗겨간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중심으로 빠른 회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2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상회한 변동률을 기록해 11.3대책 직전의 고점에 한걸음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다만, 단기상승 회복이 봄 이사철과 맞물려 추세 상승으로 이어질지 좀더 지켜볼 필요는 있다. 정부가 대출규제를 전방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분양시장의 집단대출 보증 제한과 DSR(총부채원리금상환) 적용으로 주택구입에 필요한 자금 마련이 어려워져 매수 심리가 크게 증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금주 한국은행은 1.25%의 기준금리를 8개월 연속 동결시켰다. 경기 부진과 탄핵 정국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가계부채가 1300조로 사상 최대인 가운데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규모가 커지는 것도 부담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