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쇼크]국내 건설시장 '타격'
[브렉시트 쇼크]국내 건설시장 '타격'
  • 이헌규 기자
  • 승인 2016.06.30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 수주폭 '하락', 해외 프로젝트 '취소' 등 불가피

(건설타임즈) 이헌규 기자=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증대, 국내 경제성장률 둔화, 투자심리 위축 등은 부정적인 요인은 물론 국내 건설산업에도 큰 타격이 전망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30일 '브렉시트에 따른 국내 건설산업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주택구매력 위축, 민간부문 투자 심리 위축에 따른 주택·비주거 건축 및 토목 수주 감소가 예상된다고 이 같이 밝혔다.

◆국내 민간건설시장 '위축'= 보고서는 국내 건설산업은 민간 시장 부문에서 브렉시트에 따른 부정적인 요인으로 올 하반기 이후 수주 하락세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역대 최저수준의 기준금리(1.25%) 유지라는 긍정 요인이 존재하지만 하락세를 막기엔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2008년 8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6개월간 기준금리를 3.25%에서 2% 수준으로 낮췄음에도 민간 수주가 1년 이상 감소세를 보인 것에 주목하고 있다.

주택수요 위축에 따른 주택수주 하락세는 올 하반기 이후 확대될 전망이다. 최저금리 영향으로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 역대 최고 수주액을 기록하고 있는 민간 비주거 건축수주도 하반기 이후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또 설비투자와 연계성이 높은 민간 토목수주도 투자 심리 위축으로 하반기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브렉시트로 국내외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등 부정적인 요인이 확대되면 민간 부문의 건설수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민간 수주 감소 폭과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보다는 양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우리 정부가 브렉시트 등에 대비하기 위해 하반기 중 20조원대의 추경 편성을 검토하기로 함에 따라 국내 공공 토목 부문의 수주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도 수정예산 편성으로 정부 SOC 예산이 약 5조원 증가함에 따라 공공 수주가 전년비 39.8% 증가하는 효과를 봤다.

이에 따라 이번 추경예산 편성으로 하반기 토목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올해 건설투자가 전년비 4%대 중후반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해외 수주 침체=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조달에 어려움이 증대됨에 따라 발주 이전 단계에 있는 프로젝트들의 발주가 연기되거나 축소되고, 당분간 투자개발형 사업도 위축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연구원은 "유럽 이외 국가들의 경제성장률도 소폭 위축될 전망인 가운데 브렉시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중남미 지역의 건설공사 수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2017년에도 해외건설 수주는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특히 브렉시트 발표 직후 최근 소폭 상승했던 국제유가가 5% 가까이 급락했고 일각에서는 40달러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치가 나왔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이 진출해 있는 중동 건설시장의 석유화학플랜트 수주 침체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여기에 아시아보다 브렉시트 영향이 상대적으로 좀 더 큰 중남미 지역의 수주에도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하반기 건설사 경영전략은= 올 하반기 영국의 EU탈퇴(브렉시트) 결정으로 세계적으로 금융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국내 건설산업은 금융조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증가로 건설업체들의 금융조달 여력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실정이다.

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 연구위원은 "브렉시트가 국내 경제 및 부동산 경기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달러화 강세의 지속으로 외환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등 국내 금융환경이 악화될 경우 금융기관의 대출 제한 정책, 미청구공사액 및 미수금 등 잠재 손실위험 노출 등 건설업체의 신용등급 하락요인으로 작용한다"면서 "이로 인한 건설·부동산 경기가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의 유동성 확보는 하반기 건설경영의 핵심 이슈가 될 것이라고 김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올 하반기는 경기 하방 압력이 가중되는 가운데 저금리나 대선 변수를 제외하면 내년도 국내 경기의 뚜렷한 상승 요인이 없는 상황인 만큼, 2017년 이후의 환경변화를 겨냥한 사업구조 및 조직구조의 점진적 개선 작업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