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타임즈) 이자용 기자=
2011년 4월 3300만원 무너진 이후 5년만에 재탈환
서울 아파트 전셋값 0.07%로 안정세 유지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3300만원을 탈환했다. 2011년 이후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다 박근혜 정부 들어 재건축 규제 완화, LTV·DTI 규제 완화, 저금리 기조 등 부동산 경기 부양대책에 힘입어 2013년 7월(2840만원) 바닥을 찍은 이후 5년만에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3300만원 고지를 재탈환했다.
2016년 들어 대출심사 강화의 영향으로 다소 위축된 모습을 보였던 강남구 아파트 시장은 2월 개포주공2단지(래미안블레스티지) 분양흥행 이후 일반분양을 앞둔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며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라 지난 주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이 0.45% 올라 상승세를 이끌었으나 일반 아파트는 0.09% 상승해 재건축 아파트의 훈풍이 일반 아파트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조용한 모습을 보이며 각각 0.03%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이사 비수기에 접어들며 안정적인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7% 상승했다. 저가 매물이 많아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구로나 금천 등을 제외하고 안정세가 유지됐다. 신도시는 신규 아파트가 많은 위례를 중심으로 0.02% 상승했고 경기ㆍ인천은 과천이 재건축 이주수요로 다소 상승한 반면 이외 지역은 안정세를 보이며 0.02% 올랐다.
매매현황은 서울이 ▲중(0.35%) ▲강남(0.34%) ▲강동(0.31%) ▲금천(0.26%) ▲양천(0.20%) ▲마포(0.19%)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중구는 신당동 일대 대단지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늘면서 가장 높은 매매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신도시 아파트 매매값은 ▲일산(0.12%) ▲산본(0.08%) ▲중동(0.08%) ▲평촌(0.05%) ▲동탄(0.04%) 이 상승했다.
수도권은 ▲과천(1.26%) ▲광명(0.06%) ▲파주(0.06%) ▲고양(0.05%) ▲평택(0.05%)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전세 현황으로는 금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사철 종료 후 수요가 주춤해지면서 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저가 매물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구로(0.55%) ▲금천(0.38%) ▲용산(0.28%) ▲도봉(0.26%) ▲동작(0.24%) 순으로 상승했다. 구로와 금천은 저가 전세매물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하다.
신도시는 ▲위례(0.09%) ▲평촌(0.08%) ▲파주운정(0.08%) ▲동탄(0.06%) ▲산본(0.02%) ▲분당(0.01) ▲일산(0.01%)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경기ㆍ인천은 ▲과천(0.13%) ▲고양(0.10%) ▲남양주(0.07%) ▲구리(0.06%) ▲의정부(0.06%)순으로 전세가격이 올랐다. 과천은 재건축 이주 수요로 전세매물이 귀하다.
정부는 이달 중 분양권 다운계약서 작성, 불법전매 등에 대한 실태점검과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고분양가 논란에 관해 모니터링을 강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 폐지, 전매제한 완화 이후 위례신도시, 부산, 대구, 세종 등을 중심으로 일부 투기세력에 의한 분양권 불법전매가 성행하자 분양권 거래에 대한 집중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또 최근 강남권을 중심으로 고분양가 논란이 일자 재건축 아파트 분양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성권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투기세력에 의한 분양권 불법전매나 분위기에 휩쓸린 고분양가는 결국 실수요자들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갈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가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취지는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올해 초 수도권 대출규제 강화 이후 일반 아파트는 상승세가 제한적인 반면 재건축 아파트가 분양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서울 아파트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최근 정부의 정책 시그널이 분양시장뿐만 아니라 전체 아파트 시장에 위축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분석했다.